삶은 탐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탐구하는 것

Project Done 161

[롯데면세점] 로봇 바텐더 구축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 롯데면세점 로봇 바텐더 구축 프로젝트기간 : 2024년 10월 ~ 11월역할 : 컨셉 디자인 화면 기획안 및 화면 기획서(UI/UX) 제작  김포공항점에서 주류를 구매한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폭넓은 상품과 즐거운 체험을 마련하기 위한 로봇 바텐더 주류 시음권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진행되었다. 태블릿 화면에서 시음권을 입력하고 여권 스캔으로 본인 인증을 거치면 로봇 바텐더가 고객의 7가지 얼굴 표정을 판별하여 표정과 기분을 인식한 후 추천하는 주류를 만들고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고객이 태블릿 화면을 따라가기 쉽게 접근 용이성을 고려하여 UI/UX를 구현했다.

2025.03.14·

탄소중립도시계획 연구 개발 사업-디자인 컨셉

프로젝트명 : 탄소중립 도시계획 연구개발사업기간 : 2023년 4월 ~ 6월역할 : 컨셉 디자인 화면 기획안 및 컨셉 디자인 화면 작업 탄소 중립도시계획 연구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도시 탄소 배출량을 확인하기 위한 화면 기획안 작업 진행 PC 웹과 모바일 웹에서 다양한 데이터와 기술적 정보들을 위한 반응형 웹으로 구현했으며, 시도별, 주거지역, 주요 도로별 탄소 배출량을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했으며, 간략한 통계를 위한 화면을 설계 및 디자인 구현 가능하게 작업. 또한, 사업 배경 및 탄소 배출에 대한 기술적인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2023.12.24·

[ONEstore] 중고 게임 타이틀 중개 플랫폼 서비스 컨셉 디자인 제안

프로젝트명 : 'ONESTORE' 중고 게임타이틀 중개 서비스 플랫폼기간 : 2022.03역할 : 모바일 UI/UX 분석 및 콘셉트 디자인 기획안 작성  ONESTOE 중고 게임 타이틀 중개 플랫폼 기획안 작성 및 콘셉트 디자인 화면 작업 다양한 콘텐츠를 보여줘야 하는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직관적인 콘텐츠 구분과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예시 디자인을 제안했던 UI/UX 기획안 및 콘셉트 디자인 시안 제작. 다양하고 많은 콘텐츠 요소와 판매 상품의 시인성과 주목도를 높이고 핵심적인 정보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주요 콘텐츠를 화면 상위에 배치함으로써 상품의 가치를 극대했다. 주요 게임 상품 정보의 쉬운 상품 접근성을 부여하고 커뮤니티 이슈를 노출하여 거래 및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메인 구..

2023.05.23·

[SK Telecom]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IFLAND’ Back Office-경제시스템관리 개발

Customer : SK TELECOMWork term : 2022.04 ~ 2023.02Work position : Planning leading, UI/UX 기획Role : 아바타 및 상점관리 및 경제시스템관리 개발 참여  이프랜드(ifland)는 메타버스가 가진 초현실적인 개념을 직관적이고 감성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브랜드이다. ‘누구든 되고 싶고, 하고 싶고, 만나고 싶고, 가고 싶은 수많은 가능성(if)들이 현실이 되는 공간(land)’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프랜드에서는 누구나 쉽게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고,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세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실제와 닮아가는 메타버스는 또 다른 현실이다. 메타버스 안의 아바타는 현실의 나와 분리된 자아가 아닌 나 자신이다..

2023.02.23·

[SK 에너지] '머핀트럭' 상용차 o2o 서비스 플랫폼 개발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 '머핀트럭' 상용차 o2o 서비스 플랫폼 개발발주사 : SK 에너지 / 시행사 : SK Planet개발기간 : 2021.02 ~ 2022.04역할 : Back Office, Partner Office UI/UX 기획 화물 운송을 운영하는 차주를 위한 o2o 서비스 플랫폼이며,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차주를 위한 서비스을 위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체계적으로 나만의 운송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편리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운송관리 및 운송 경로 탐색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음성 인식을 통해 운전 중에도 원하는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차주에 필요한 금융 서비스, 세무신고 서비스, 차량관리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2022.03.23·

[세종특별자치시] Health-keeper hybrid app 개발 프로젝트

Customer : 세종특별자치시Work term : 2020.10 ~ 2020.12Work Position : 관리자-UI/UX 기획 세종 시민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키퍼 서비스’ 개발 프로젝트에 화면 기획설계 참여. 하이브리드 앱으로 개발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개선하였으며, 다양한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여 활용도를 많이 높였다. 단순한 형태의 걷기, 달리기 등의 활동적인 운동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나만의 다양한 건강 데이터, 각종 의료문서, 건강 통계를 통해 건강 체크를 할 수 있도록 했고, 운동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주민들 간의 친목과 서로에게 건강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2021.09.23·

[이마트] humanoid Tablet POC 구축 프로젝트

Client : 이마트Work term : 2018.07 ~ 2018.11Application OS : Android TabletWork Position : Service Plan  휴머노이드 로봇 "페퍼"를 이용하여 이마트의 다양한 정보제공 및 홍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고객에게 흥미와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했다. 이마트 휴점안내, 수입상품 소개, 수입 맥주 상품 등의 정보를 소개하고 페퍼와 함께 사진찍기, 놀이를 통해서 고객에게 흥미유발 및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했다.  페퍼의 가슴에 부착되어 있는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터치하여 상품을 안내받거나, 음성인식 기반으로 페퍼에게 질문을 하거나 상품 정보를 안내받을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사용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에 신경을 많이 ..

2020.12.30·

[부산 bexco] 전시/행사 정보 서비스 앱 "스마트 벡스코"

Client : bexcoWork term : 2016.01 ~ 2016.06적용 OS : Android & iOS개발환경 : Unity다양한 전시 및 행사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앱 "스마트 벡스코"부산 벡스코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행사 및 전시 정보를 소개하고, 모바일 티켓 구매 서비스와 위치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행사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스마트 벡스코 앱 개발은 현재 스마트 결제(간편 결제)와 모바일 정보 제공 서비스의 트렌드의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행사정보와 부가서비스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현장에서 티켓를 구매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모바일 티켓 구매 서비스를 구현했으며, 현재 위치와 부스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정보 서비스..

2020.12.30·

[삼성전자] Galaxy of Games 홈페이지 고도화 프로젝트

Client : 삼성전자Work term : 2017.08 ~ 2018.03Work : Service Plan PL게임 통계정보를 게임 개발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본인이 개발한 게임의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일일 평균 플레이 시간, 설치수, 등의 통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게임 트렌드를 분석할 수도 있다. 삼성 전자에서 출시되는 안드로이드 계열 단말(Galaxy 계열)에서 설치 가능한 게임에 한해서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게임 개발자 인증 및 승인을 얻어야만 홈페이지 접근 가능. Web과 Mobile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반응형으로 개발되어 서비스 중이다.

2020.12.29·

[KTNET] 수출입 업무용 하이브리드 앱 "ULocal"

Client : KTNETWork Duration : 2015.06수출입 업무용 서비스 하이브리드 앱 UX 및 디자인 컨설팅.개발이 완료되었으나, UX와 UI 환경에서 차별화를 지향하고 업무환경에 맞게 개선하기 위한 컨설팅 업무 지원.개발단계에서의 화면 UI에 대한 고객의 Needs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업무환경에 최적화할 수 있도록 개선작업 진행. 또한, 사용자 편의를 의한 의견을 제시하고 수용함으로써 업무환경에 필요한 기능을 추가했다. 업무용 서비스이기 때문에 웹환경에 맞춰져 있는 화면 대부분을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하였다.기존의 업무 서비스 환경의 모든 화면들이 딱딱한 화면 구조에서 벗어나 심플하고 업무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였다.

2020.12.29·

[SK Telecom] 나만의 통화 다이어리 "콜스토리 2.0" APP

Work Term : 2014년 02월~07월Client : SK Telecom적용 단말 : 안드로이드 계열의 갤럭시 S3, S4 / 갤럭시 노트2, 노트3, 노트4 버전 1.0에서는 기능적인 면에 집중한 반면 2.0에서는 디자인적인 측면을 많이 고려하였고, 함께 기능적인 측면을 고도화하여 좀 더 다양한 통화 로그를 세분화하여 체계적인 구조를 위한 개발을 진행했다. 주요 특징은 디자인 측면에서는 감성적인 컨셉을 지향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UI, UX 측면을 전면적으로 개선하였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콜 키워드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수집된 키워드를 분류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성을 높였다.

2020.12.29·

[SK Telecom] 2015 스페인 MWC 전시 앱 'EGGO MATE'

Client : SK TelecomWork Duration : 2014년 12월 ~ 2015년 02월적용 단말기 : 안드로이드 계열의 갤럭시 노트2, 노트3 / 갤럭시 탭 10.12015년 3월 초, 스페인에서 개최한 MWC에서 활용된 전시용 앱 개발.Be-Me Platform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Context를 기반으로 Eggo Mate에서 똑똑한 비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시연을 통해 공개할 수 있도록 했으며, 최대한 일반 사용자들에게 시연을 하며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전시회장 안에서 시연을 하는 것이라서 다양한 환경을 고려했고, 최대한 간결하고 심플하게 개발하였다. 또한, 메인 대형 스크린에서 펼쳐지는 Be-Me Platform의 개념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영상을 제작하여 일반인들에..

2020.12.29·

[SK Telecom] 나만의 통화 다이어리 "콜스토리 v1.0"

Client : SK TelecomWork Duration : 2013년 10월 ~ 2014년 01월적용 단말기 : 안드로이드 계열 스마트폰콜스토리는 기존 스마트폰의 단순 통화 기록에 대한 통화 Log를 연관 데이터와 결합, 분석, 가공하여 통화 과정 전반의 새로운 경험과 편리함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과 새로운 통화 Log의 패러다임을 만들기 위해 탄생했다. 단순한 구조의 통화 Log를 재해석하여 나와 관계된 사람 중심으로 통화 Log를 시각화 및 재구성하여 개발되었다. 통화 내용을 통해서 콜 키워드를 추출하고, 통화 위치정보를 활용한 통화 Log를 사람과의 관계로 재정립하여 통화 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개인화 서비스.

2020.12.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