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탐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탐구하는 것

블록체인 3

문화를 바꾸려면, 변화 관리, 인내, 그리고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공감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기술 개발 측면에서 인류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시대 중 하나에 살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칩의 발명은 50년 전 기술 혁명의 현재 단계를 시작했습니다. 모든 기술과 마찬가지로 양날의 검이며 그 진실의 꼬리표를 타고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는 문화를 코드로 사용하여 이러한 과제를 파악하고 적응하고 진화해 왔습니다. 하지만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기술이 한꺼번에 등장하여 전 세계적으로 사회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소셜 미디어가 정치와 사회적 규범에 미치는 영향, 인공지능이 인지 능력을 증강시키는 것, 스마트폰이 전 세계의 지식과 음악을 우리 주머니에 넣는 것들, 이렇게 많은 기술이 있는데, 우리 사회와 문화가 이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보다 너무 앞서가고 있는 걸까..

2025.03.11·

문명의 충돌,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시장보다 빠르게 움직이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시장보다 느리면 뒤쳐진다. 코로나가 만든 비대면 사회는 낯선 것에서 익숙한 존재로 전환됐다. 비대면 사회를 뒷받침하는 것은 기술이다. 줌(Zoom)을 통한 미팅과 재택근무, 비대면 쇼핑과 배송, 비대면 금융 및 증권거래, 비대면 재난지원금 지원… 그리고 비대면은 메타버스(MetaVerse)로 가속화되고 있다. 낯선 것에서 익숙한 것 사회 변화의 동인 중 하나는 새로운 신진 세대(현재는 MZ)의 유입이다. 젊음은 본능적으로 새로운 것에 열광한다. 코로나 시대로 전환되면서 변화는 급가속되어 낯선 것들과 새로운 것들이 대거 등장했다. 새로운 세대는 대면과 비대면 중 비대면을 선호한다. 키오스크와 스마트폰으로 주문하고, 쇼핑하고, 주식을 투자하고, 게임을 하고 ..

2022.09.05·

'웹 3.0' 개념을 무시해도 좋은 이유

IT 전문가 사이에서 웹 3.0(Web3.0)을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 예를 들어 트위터의 전 CEO 잭 도시는 최근 웹 3.0이 웹 ‘민주화(democratizing)’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벤처 캐피털리스트의 툴 역할을 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자 벤처 캐피털리스트인 마크 안드레센은 트위터에서 그를 차단했다. 일론 머스크는 웹 3.0은 과장된 마케팅 개념이며, 그 개념을 잘 모르겠다며 이 논쟁에 참전했다. 웹 3.0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그러나 웹 3.0을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럴만하다. 모호하고 혼돈스러운 개념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웹 3.0 주창자들도 웹 3.0의 개념을 서로 다르게 말한다. 웹 1.0(과거 웹 1.0으로 불림)은 인터넷 등장부터 2004년까지를 가리킨다. 이후 웹 ..

2022.06.09·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