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자히르
원제 : O Zahir
저 파울로 코엘료 / 역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5.07.12 / 브라질소설
자히르, 신의 아흔아홉 가지 이름 중 하나
원제인 ‘O Zahir(The Zahir)’는 원래 아랍어로, 어떤 대상에 대한 집념, 집착, 탐닉, 미치도록 빠져드는 상태, 열정 등을 가리킨다. 이것은 부정적으로는 광기 어린 편집증일 수도 있고, 긍정적으로는 어떤 목표를 향해 끝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원일 수도 있다. 그것은 난폭한 신과 자비로운 신의 두 얼굴처럼 양면적인 힘이다. 아랍어에서 ‘자히르’는 신의 아흔아홉 가지 이름 중 하나일 정도로 신성한 것이다. 코엘료는 바로 이 ‘자히르’를 이번 신작의 중심 주제로 내세운다. 사로잡힌다는 것. 그것은 매혹이자 열정이며 우리의 삶을 추동해가는 근본적인 에너지이다.
무언가에 사로잡혔을 때, 배경으로만 존재하던 일상의 무수한 사물들과 사건들은 전혀 새롭고 낯선 풍경이 되어 시야에 잡혀든다. 사로잡힘으로써 감각은 보다 예민해지고, 영혼은 더욱 섬세해지며, 잠재되어 있던 본능이 발현한다. 그리하여 이전에 보지 못한 것들을 보게 되고 듣지 못한 것들을 듣게 되며, 느끼지 못한 것들을 느끼게 된다. 세계가 숨겨두었던 신비를 벗고, 작은 먼지 같던 존재가 빛 속으로 또렷하게 부상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무언가에 사로잡힘으로써 우리는 또한 사로잡힌 대상을 제외한 나머지 것들에 대해 무감각해지고, 이야기는 왜곡되고, 세계는 우리 앞에서 변형된다. 사로잡힌 대상만으로 세계가 가득 차고, 그것은 절대적이며 유일한 존재가 된다. 마치 신처럼…… 우리를 지배한다.
코엘료는 작품 속에서 ‘자히르’의 상태에 빠진 자, 중독된 자들의 모습을 세밀화처럼 묘사하고 있다. 일에 중독된 사람, 유흥에 중독된 사람, 사랑에 중독된 사람, 소유에 중독된 사람, 명성에 중독된 사람, 전쟁에 중독된 사람 등등, 『오 자히르』에는 다양한 형태의 중독자들이 등장한다. 사실 무언가에 중독되지 않은 채로 생의 비애와 공포스러운 현실을 잘 견딘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그게 뭐가 됐든 무언가에 빠져 있어야만 우리는 ‘시간의 속도감’을 잊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자신의 위치를 매 순간 또렷이 자각하며 산다는 건 누구에게나 버거운 일이다. 그래서 무언가를 원칙으로 정해놓고, 질문을 던지지 않고, 무작정 따르는 것. 그것이 우리가 일상적인 자히르에 굴복하는 방식이다. 작가는 이것을 ‘기차의 두 선로 사이의 거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현대의 기차의 두 선로는 143.5센티미터 혹은 4피트 8과 2분의 1인치만큼 떨어져 있다. 그런데 왜 이렇게 애매한 숫자일까? 145센티미터든가 5피트로 정하면 훨씬 간단할 텐데?
그 이유는 아주 오랜 옛날, 고대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로마의 전차는 말 두 마리를 매어 끌었고, 그래서 도로를 건설할 때 그 폭을 말 두 마리가 나란히 달릴 수 있는 거리로 정했다. 그리고 이 도로는 이후 마차 바퀴 사이의 거리를 결정지었고, 기차를 처음 만들었을 때도 마차를 만들던 도구와 연장을 사용했기 때문에 오늘날의 기차 선로 폭이 정해졌다(본문 168~169, 185~186쪽). 『오 자히르』는 이처럼 정해진 원칙을 의문 없이 따르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를 다양한 비유와 우화적 에피소드를 통해 말하고 있다. 그리고 원칙이라고 믿고 있던 것, 불변의 사실로 확신하던 것이 깨어질 때 비로소 우리는 자기 자신을 다시 발견하고, 새로운 세계를 보게 된다고 역설한다.
자히르, 길들지 않은 열정 혹은 미칠 듯한 사랑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의 삶에서 가장 강력한 자히르는 ‘사랑’이다. 사랑은 그 열렬한 도취와 탐닉의 에너지로 죽음의 공포를 잊게 한다. 사랑하는 순간에생명은 불꽃을 터뜨리며, 자신의 내부에 깃든 에너지를 격렬히 소진한다. 그런데 신비로운 것은 사랑의 에너지는 쓸수록 더 큰 에너지를 생성시킨다는 점이다. 사랑은 에너지를 고갈시키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생명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그것은 에너지의 총량은 항상 같다는 물리학의 법칙을 위배한다. 그런데 사랑에는 다양한 결과 깊이가 있다. 『오 자히르』는 바로 이 사랑의 결과 깊이에 대한 소설이다.
베스트셀러 작가인 주인공 ‘나’가 어느 날 갑자기, 말없이 사라져버린 아내에 대해서 갖는 집착과 혼돈은 가장 강력한 자히르의 상태를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또한 그가 사로잡힌 것으로부터 벗어나려고 애쓰고, 무작정 걸어가던 걸음을 멈추고, 자기 내부를 응시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독자는 사랑의 깊이와 넓이가 얼마나 무한한가를 느끼게 된다. 그것은 자기 내부의 한계와 마주치고, 그 한계로부터 단숨에 비약해서 폭발적인 에너지로 새로운 층위로 치솟아 들어가는 과정이다.
코엘료는 이것을 ‘아코모다도르’와 화살의 비유로 설명한다(본문 315쪽). 아코모다도르란 우리가 살다가 어느 순간인가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제자리에 멈춰서는 한계를 말한다. 이 아코모다도르는 정신적 트라우마로 작용하여 우리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억압하며, 왜소하고 축소된 인간으로 머물도록 만든다. 아코모다도르를 극복하는 첫번째 과정은 우리가 그것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에 있다.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아야 그 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한곳에 정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어디론가 나아가기 위한 노력, 그것으로부터 삶의 풍요로움은 시작된다. 그리고 이 움직임이 우리를 사랑의 핵에 가 닿을 수 있도록 이끈다.
“모든 사랑은 여행이다. 그대에게로 떠나는, 그리고 나 자신에게로 떠나는...”
『오 자히르』에서 ‘자히르’에 못지않게 중요한 단어는 ‘노마드’, 즉 유목의 전통이다. 여주인공 에스테르는 카자흐스탄 스텝의 유목민으로부터 중요한 가르침을 받는다. 유목민은 말한다. “온전함에 이르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움직임 속에 있어야 하오. 그러면 매일매일이 달라지니까(본문 275쪽).” 코엘료의 기존 작품에서 ‘순례’로 형상화되었던 이 ‘움직임’의 개념은 이번 신작에서도 여전히 유지된다. 그런데 눈에 띄는 것은 전작들에 비해 그 사유의 폭이 훨씬 더 넓어졌다는 점이다.
코엘료가 말하고 있는 ‘움직임’은 눈에 보이는 현상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은 고여 있는 모든 상태를 부정하고 육체적으로 또 정신적으로 공간의 확장을 시도하는 것이다. 물리적 존재인 인간이 시간성과 공간성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 그것은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열망이자 영원한 숙제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우리는 ‘지난 경험’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왜냐하면 ‘경험’은 우리를 더 잘 살아갈 수 있게 도와주지 못한다.
과거의 경험으로는 현재의 고통에 더 능숙하고 더 노련하게 대처할 수 없다. 고통은 매번, 전혀 새롭기 때문에 충격적인 것이고, 그래서 고통스러운 것이 아닌가. 그리고 개인의 역사―경험, 추억, 체험, 과거, 옛이야기 등으로 번역될 수 있는―는 더 많이 쌓여갈수록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을 무겁게 만드는 등짐과도 같은 것이다. 우리는 어느 시점에선가 그 짐을 내려놓지 않으면 계속 갈 수 없다.
언제 생의 한 시기가 끝에 이르렀는지 아는 게 중요하다. 한 주기를 마감하고, 문을 닫고, 한 장(章)을 끝마치는 것. 그걸 뭐라 부르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완결된 삶의 순간들을 과거 속에 놓아두는 것이다. 뒷걸음질할 수 없다는 걸, 어떤 것도 과거의 모습으로 되돌릴 수 없다는 걸 나는 서서히 이해하고 있었다.(본문 227쪽)
『오 자히르』의 중요한 등장인물인 카자흐스탄 출신 청년 미하일은 바로 이 ‘움직임’의 전통, 즉 유목의 전통 속에서 자라난 인물이다. 그는 에스테르와의 인연으로 유럽의 도시 파리로 오지만, 그곳에서도 여전히 노마드들과 더불어 생활한다. 그중에는 걸인, 부랑자, 노숙자 등 실제로 ‘집’이 없이 사는 사람들도 있고, 과거 히피운동 시절을 연상시키는 일군의 젊은이들처럼 자발적으로‘거리’를 선택한 사람들도 있다. 본문에서 ‘부족’으로 표현되는 이들은 피어싱을 하고, 영화 속에서 방금 튀어나온 것 같은 차림으로 파리 시내를 돌아다닌다.
그들은 현대 문명 속에서 노마드로 살아가기를 선택했고, 잃을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늘 자유로우며, 오늘이 지상에서의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아간다. 이들은 “단 한 사람의 변화가 세계 전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으로, “사랑의 빛이 세상에 보다 널리 퍼지게” 하기 위해 다양한 계층, 나이, 성별의 사람들과 ‘만남’을 시도한다. 이 도시의 순례자들을 통해서 주인공은 현재에 고착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두렵지만 동시에 환희로 충만한 순례길을 나설 용기를 갖게 된다. 그리고 그 길에서 또다른 많은 여행자들, 순례자들, 노마드들과 만난다.
'Review > 읽은 것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분] 인간에게 사랑과 성을 일깨우는 책 (0) | 2018.11.20 |
---|---|
[히스토리언 세트(전3권)] 드라큘라를 둘러싼 비밀과 전설을 파헤친다. (0) | 2018.11.20 |
[마시멜로 이야기] 동기부여을 위한 아주 특별한 책 (0) | 2018.11.20 |
[어둠의 저편] 인간과 사회의 가치를 위한 하룻밤 동안의 이야기 (0) | 2018.11.20 |
[연금술사] '자아'를 찾아가는 영혼의 연금술 (0) | 2018.11.20 |
[다 빈치 코드 1,2] 비밀스러운 성역을 파헤치는 스릴러 (0) | 2018.11.20 |